2008. 1. 29. 08:34
오늘은 미국의 전문 디테일러 Carlos의 작품을 감상해보겠습니다.
디테일링 차량은 2007년식 BMW 328Xi가 되겠습니다.
[디테일링 전]
[디테일링 과정]
제일 먼저 휠, 타이어를 세척한다. 휠 웰(Wheel well)은 P21S의 Total Auto Wash를 사용했다.
림(rim)쪽에는 P21S의 Wheel gel을 스프레이했다.
타이어 클리너로는 ARO 제품을 사용했다.
자루가 긴 브러쉬로 휠 웰을 브러싱하는 모습
림은 EZ brush를 사용해서 브러싱했다.
림의 앞면은 Swissvax Wheel brush를 사용해서 브러싱했다.
타이어 브러싱은 Meguiar's의 Tire brush를 사용했다.
브러싱을 끝내 놓은 모습
휠 웰도 꼼꼼히 헹군다.
휠, 타이어 세척 후
CR System
카삼프로 Zymol Clear를 사용했다.
2 Bucket을 이용한 샴프세차 준비 완료
Washing
세차를 마치고 클레잉 작업에 들어간다. 클레이바는 Ricardo Clay를 사용했으며, Lubricant(윤할제)로는 Pinnacle Caly Lube를 사용했다.
차량 전체를 클레잉 한 후의 클레이 바 상태..양호한 편이었다.
건조를 위해 에어 컴프레샤를 이용하여 물기의 대부분을 불어냈다.
마무리로 드라잉 타월로 물기를 제거했다.
건조가 끝났으므로 도막 두께를 측정하였다. 도막이 두꺼운 편이라 맘 놓고 작업해도 될 것 같다.
도장 상태 평가
사진 상에서는 잘 안보이는 차량 전체가 워터 스팟(water spot)으로 얼룩져있다.
Makita 1800 RPM, Sonus SFX-2 Polishing pad(흰색), 컴파운드로는 Scholl concepts사의 S40을 사용했다.
S40으로 해결되지 않는 스월마크와 워터 스팟이 있어서 이번에는 연마력이 한단계 더 높은 S17을 사용함.
컴파운딩 작업 전
컴파운딩 작업 후
* 흰색 차량이라 사진 상으로는 작업 결과를 쉽게 구분하기 어렵지만 스월마크가 사라졌고 반사된 조명의
상이 더욱 또렷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작업 후 먼지가 달라 붙은 모습 (사진 상으론 잘 안보임)
가벼운 먼지이므로 자이몰 울 더스터(Zymol wool duster)를 사용하여 먼지를 제거했다.
왁싱 전 페인트 클렌져로 Duragloss 601을 사용했다.
LSP(Last step product)로 Duragloss 105(합성왁스)를 사용했다.
Meguiar's foam application pad로 왁싱하는 모습
같은 제품으로 휠 림도 발라주었다.
왁스가 건조되는 동안 Optimun Tire Shine으로 타이어 코팅을 했다.
[디테일링 후]
머플러는 P21S Polishing Soap를 사용해서 폴리싱했다.
*Carlos 컴파운딩 동영상
디테일링 차량은 2007년식 BMW 328Xi가 되겠습니다.
[디테일링 전]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0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4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0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5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1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0.jpg?original)
[디테일링 과정]
제일 먼저 휠, 타이어를 세척한다. 휠 웰(Wheel well)은 P21S의 Total Auto Wash를 사용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2.jpg?original)
림(rim)쪽에는 P21S의 Wheel gel을 스프레이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6.jpg?original)
타이어 클리너로는 ARO 제품을 사용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3.jpg?original)
자루가 긴 브러쉬로 휠 웰을 브러싱하는 모습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7.jpg?original)
림은 EZ brush를 사용해서 브러싱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4.jpg?original)
림의 앞면은 Swissvax Wheel brush를 사용해서 브러싱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5.jpg?original)
타이어 브러싱은 Meguiar's의 Tire brush를 사용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8.jpg?original)
브러싱을 끝내 놓은 모습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3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6.jpg?original)
휠 웰도 꼼꼼히 헹군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9.jpg?original)
휠, 타이어 세척 후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7.jpg?original)
CR System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9.jpg?original)
처음 보는 장비인데 이 장비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었습니다. 추측하건데 일종의 정수기로 물 속에 녹아있는 미네랄 성분까지 걸러내주어 드라이 스팟의 생성을 방지하는 장비 같습니다. 이런 장비까지 사용해서 디테일링하는 곳은 처음 보네요..
카삼프로 Zymol Clear를 사용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0.jpg?original)
2 Bucket을 이용한 샴프세차 준비 완료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2.jpg?original)
양동이 안에 있는 빨간 플라스틱은 Grit guard라고 하며 스폰지 또는 와시 미트를 헹구거나 샴프를 묻힐 때 이물질들이 스폰지나 와시 미트에 다시 엉겨붙지 않도록 이물질을 가두는 역할을 하여 세차 중 이물질에 의한 스월마크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습니다. 여기 사용되는 스폰지는 자이몰 스폰지입니다.
Washing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5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6.jpg?original)
세차를 마치고 클레잉 작업에 들어간다. 클레이바는 Ricardo Clay를 사용했으며, Lubricant(윤할제)로는 Pinnacle Caly Lube를 사용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1.jpg?original)
차량 전체를 클레잉 한 후의 클레이 바 상태..양호한 편이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2.jpg?original)
건조를 위해 에어 컴프레샤를 이용하여 물기의 대부분을 불어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3.jpg?original)
마무리로 드라잉 타월로 물기를 제거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3.jpg?original)
건조가 끝났으므로 도막 두께를 측정하였다. 도막이 두꺼운 편이라 맘 놓고 작업해도 될 것 같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9.jpg?original)
도장 상태 평가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4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4.jpg?original)
사진 상에서는 잘 안보이는 차량 전체가 워터 스팟(water spot)으로 얼룩져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5.jpg?original)
Makita 1800 RPM, Sonus SFX-2 Polishing pad(흰색), 컴파운드로는 Scholl concepts사의 S40을 사용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7.jpg?original)
S40은 Scholl Concepts 제품중 가장 마일드한 컴파운드입니다. 컴파운드 선택의 정석은 마일드한 것부터
시작하는 것입니다.
시작하는 것입니다.
S40으로 해결되지 않는 스월마크와 워터 스팟이 있어서 이번에는 연마력이 한단계 더 높은 S17을 사용함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6.jpg?original)
컴파운딩 작업 전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5.jpg?original)
컴파운딩 작업 후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0.jpg?original)
상이 더욱 또렷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작업 후 먼지가 달라 붙은 모습 (사진 상으론 잘 안보임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1.jpg?original)
가벼운 먼지이므로 자이몰 울 더스터(Zymol wool duster)를 사용하여 먼지를 제거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7.jpg?original)
왁싱 전 페인트 클렌져로 Duragloss 601을 사용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8.jpg?original)
LSP(Last step product)로 Duragloss 105(합성왁스)를 사용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9.jpg?original)
Meguiar's foam application pad로 왁싱하는 모습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0.jpg?original)
같은 제품으로 휠 림도 발라주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2.jpg?original)
왁스가 건조되는 동안 Optimun Tire Shine으로 타이어 코팅을 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6.jpg?original)
[디테일링 후]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1.jpg?original)
머플러는 P21S Polishing Soap를 사용해서 폴리싱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2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3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3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7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4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4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5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4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6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25.jpg?original)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7_3_31_3_blog114692_attach_0_18.jpg?original)
Carlos는 washing 과정에서 주로 P21S 제품 라인을 이용했습니다. 예외적으로 샴프는 Zymol Clear를 사용했지만요. P21S는 독일 브랜드로 휠 클리너만큼은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세정력이 뛰어납니다. 저도 이 제품을 사용하고 있지만 맥과이어스, 소낙스의 세정력과는 역시 차이가 납니다. P21S 제품으로 또 유명한 것이 카나우바 왁스입니다. 미국에서 유통되는 46가지의 왁스에 대한 비교 테스트(Guru Reports-The Car wax Test Report)에서 카나우바 왁스 부문 1등을 차지한 왁스가 바로 P21S Concours-look Carnauba wax입니다. 저도 자주 애용하고 있는 왁스로 여타의 카나우바 왁스보다 발림성과 닦임성면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느껴지며 광택 역시 훌륭한 편입니다.
*Carlos 컴파운딩 동영상
'Pro detail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디테일링] MAZDA 2002 MX-5 (13) | 2008.02.29 |
---|---|
[디테일링] 2002년식 BMW 330Ci Black (4) | 2008.02.20 |
[디테일링] 2004 Black Lexus LS430 (2) | 2008.01.20 |
[디테일링] VXR8 Show car detailing (4) | 2007.12.28 |
[디테일링] Audi S3 (웻샌딩을 이용한 흠집제거) (1) | 2007.12.22 |